프로그래밍/운영체제 스피비 2011. 5. 26. 11:52
Polling은 특정 주기를 가지고 그 주기 마다 처리를 위한 시그널이 들어 왔는지를 체크 합니다. 따라서 커널과 같은 Interrupt Handler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해당 드라이버에서 스레드를 돌면서 주기적으로 체크만 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Interrupt 방식보다 구현이 쉽습니다. 하지만 시스템의 리소스를 많이 먹는 부분에 구현시 시스템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처리에 정확한 타이밍을 요하는 곳에 사용을 할 경우, 이 또한 문제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Interrupt 방식은 하드웨어에서 지정한 시그널을 받도록 구현하는 방식입니다. 커널의 Interrupt Handler가 Interrupt를 체크하고, Interrupt 발생시 Interrupt Thread(해당 ..
프로그래밍/운영체제 스피비 2011. 5. 23. 15:25
raid. 이 생소한 raid란 것은 도데체 무엇일까요? raid는 raid0, raid1, raid5라는 게 있습니다. 이 raid는 와이즈기가의 제품을 사용할때 특히 그 효력을 발휘합니다. raid는 보통 컴퓨터에서 많이 사용하기도 하고 요즘 뜨는 nas인 인터넷스토리지에서도 많이 사용합니다. 와이즈기가처럼 말이죠 ^^ 그만큼 사용환경이 빨라지거나 안정적이거나 바뀝니다. 인터넷 스토리지를 사용할 때 raid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맞춰주는 것이 되겠지요. 그럼 일단 raid에 대한 개념부터 잡고 넘어가야 겠군요. * raid란? raid는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를 한개의 그룹으로 묶어 동시에 사용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읽고 쓰는 기술입니다. * 왜 raid라는 기술을 사용할까요? 하드디스크를 개별..
프로그래밍/운영체제 스피비 2011. 3. 25. 10:32
메모리에서 바이트 저장 순서가 있는데 리틀엔디안과 빅엔디안 방법이 있다. 즉 리틀엔디안과 빅엔디안은 바이트가 메모리에 어떤 순서로 저장되냐? 를 나타낸다. 1. 빅엔디안 - 주로 UNIX를 사용하는 RISC 프로세서 계열에서 사용하는 바이트 오더 -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 표준으로 사용하는 바이트 오더 - 메모리 시작 주소에 상위 바이트 부터 기록 ex) 4바이트(32bit)값 0x01020304를 빅엔디안 순서로 메모리에 입력되는 과정을 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을 보면 네모 한칸이 각각 메모리 한 번지를 의미하며,하위 주소에서 상위 주소로 주소 번지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하위주소 즉 시작 주소에 0x01020304 값중 가장 상위바이트인 0x01을 넣고, 다음 주소에 각각 하위바이트 값들을 넣어준다...